본문 바로가기
커리어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2 : 고용, 연봉, 복지

by MAITE-BLUE 2023. 5. 4.
반응형

3) 고용 / 연봉 & 복지

 

한국 기업도 최근에는 공채를 진행하지 않는 회사들이 많아졌지만 외국계 기업은 특히 공채라는 개념이 거의 없습니다. 회사에서 어떤 사업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특정한 포지션에 적합한 사람이 필요하거나 사업 확장에 따른 인력을 늘리려고 할 때, 뛰어난 인재를 미리 확보해 놓고자 할 때 그 때 그 때마다 직원을 채용합니다. 한국 기업의 경우 신입 채용이나 경력 채용 모두 정해진 공고 기간에 지원자를 모집하고 해당 지원자 중에서 상대 평가에 의해 정해진 TO를 채용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 외국계 기업은 지원자 중에서 해당 포지션에 적합한 지원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공석이 오랜 기간 유지된다고 해도 채용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 적임자라고 판단되면 빠른 시간 내에 채용을 하고 채용 공고는 게시된 날짜보다 빨리 마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외국계 회사를 목표로 한다면 특정 회사나 특정 포지션에 대해 미리 어떤 자격 조건이 필요한지 확인하고 준비하는 한편 빠르게 정보를 찾아서 빠르게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채용이나 구체적인 면접 방식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조금 더 자세하게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연봉과 복지면에서 한국 기업과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국 기업은 연봉 테이블이 있어 직급에 따라 해당 연봉 테이블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외국계 기업은 직급별, 포지션별로 직원들마다 연봉이 매우 다를 수 있습니다. 경력직으로 입사하는 직원들이 많아 개인별로 연봉협상을 다르게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성과주의가 강하기 때문에 직급이나 나이를 떠나 성과에 따른 연봉의 격차가 큰 점도 있습니다. 한국 기업은 임원으로 승진하기 전까지는 직급이 올라감에 따라 연봉 상승률이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갖지만 외국계 기업은 초년차에는 연봉 상승률이 낮고 직급이 올라갈수록 연봉 상승률이 더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균적으로 봤을 때 외국계 기업이라고 해서 한국 기업에 비해 더 높은 연봉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절대적인 수치는 회사마다 다르고 해당 직무의 중요도나 난이도, 업무 강도에 따라 다릅니다. 이 점은 한국 기업과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성과에 따른 보상면에서는 한국 기업에 비해 더욱 확실하게 구분되는 편입니다. 좋은 성과를 내면 이에 따른 개인별 인센티브를 한국 기업에 비해 더 좋게 받을 수 있지만 결과가 좋지 못하면 연봉이 낮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급이 상승할수록 개인의 능력 개발이 더 중요하게 요구됩니다.

 

 

 

한국 기업이든 외국계 기업이든 규모가 클수록 규모의 경제를 이용하여 누릴 수 있는 복지 혜택들이 있습니다. 인원이 적어 이러한 복지 혜택을 줄 수 없는 외국계 기업은 대신 연봉을 조금 더 높여서 균형을 맞추기도 합니다. 한국 기업의 특징은 외국계 기업보다 평생직장의 개념이 강하고 한국 문화에 적합한 복지 혜택이 많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외국계 기업은 미국 기업과 유럽 기업, 아시아계 기업이 각 나라의 문화에 따라 서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 기업은 능력주의가 가장 강하지만 그에 따른 성과 보상도 가장 큰 것이 특징입니다.  고용 안정성 면에서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업무 강도가 높고 야근을 포함하여 일은 많이 하는데도 야근 수당에 대한 개념이 낮습니다. 일을 많이 하든 적게 하든 능력대로 성과를 내고 해당 성과에 따라 연봉이 측정되어 가져가기 때문에 능력이 출중하다면 한국 기업에서 근무하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럽 기업은 퇴직 연금에 대한 복지가 좋은 기업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노조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타 국가의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근무시간을 갖습니다. 워라벨이 좋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한국에 진출해 있는 유럽계 기업들은 보통 한국 기업 문화와 크게 다르지는 않고, 워라벨도 직급이 낮은 직원들에 한정입니다. 직급이 높아질수록 성과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성과를 내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업무량을 소화해야 합니다. 아시아계 기업들 특히 일본 기업은 한국 기업들과 근무 방식이나 복지면에서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미국계나 유럽계 기업들에 비해 수직적인 구조로 운영되고 조직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강합니다. 복지의 종류를 보면 세세하고 세심한 부분까지 고려한 복지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외국계 기업 이직을 준비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채용 공고 및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1 : 기업문화, 업무방식, 사내 커뮤니케이션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1 : 기업문화, 업무방식, 사내 커뮤니케이션

1. 외국계 기업의 문화와 업무 방식 외국계 기업의 문화가 한국 기업과 다른 이유는 본사에서 경영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업무 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입니다. 본사의 임원진

maite-blue.tistory.com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1) : 외국계 기업의 종류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1) : 외국계 기업의 종류

국내 대기업을 10년 넘게 다니다가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과 외국계 기업의 차이점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한국 기업도, 외국계 기업도 회사에 따라 제

maite-blu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