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Resume / 면접
Resume
외국계 기업의 Resume는 모두 영어로 작성하여 제출해야 하고 때로는 cover letter까지 제출해야 합니다. Resume는 나의 그동안의 업무 이력을 중요도 순서에 따라 기술하여 어떤 직무를 해 왔고 어떤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라는 것을 보여주는 목적이고 cover letter는 내가 가진 경험이나 강점 중에서 두 세가지를 선택하여 이러한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회사의 해당 직무에 적합한 지원자다 라는 것을 워드 1~2장 분량으로 어필하는 자기 소개의 성격을 갖습니다. Resume 나 cover letter의 양식은 대부분 정해진 양식이 있지는 않고 내가 어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양식을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하나, 간혹 지원하는 회사에서 선호하는 양식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검색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영어로 나의 경력을 기술하는 것은 국문 이력서 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미리 베이스가 되는 resume를 작성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의 직무나 요구 조건에 따라 해당 resume를 변형시켜 가면서 강조할 부분에 더 힘을 주어 작성하면 조금 더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Resume 나 cover letter도 계속 작성해 보고 update를 할수록 문장이 매끄러워지고 자연스러워지기 때문에 시간이 된다면 내가 목표로 하는 직군의 회사들은 많이 지원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면접
외국계 면접이라고 해서 내용이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지원자의 직무 적합성을 확인하고 회사에 잘 맞는 사람인지 인성을 확인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해당 회사나 직무에 특화된 질문을 제외하고는 내용이 특별히 다르지 않습니다. 예외로 컨설팅펌의 면접의 경우 case interview 라는 독특한 방식의 면접을 진행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따로 시간을 내어 스터디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는 면접용으로 맞춤형 영어를 공부하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되고, 여러 면접 질문들에 대해 나의 경험을 대입하여 스크립트를 만들고 이를 계속 말하면서 체화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준비 방법인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대표 경험을 4~5가지 한국어로 작성하고 이를 영어로 번역한 후 여러 면접 질문들에 대입해 보면서 대답해 보는 방식으로 연습을 했습니다. 스크립트 번역은 영어식 표현, 매끄러운 문장으로 번역하고 싶어서 링글튜터와 같은 곳에서 원어민에게 첨삭을 받았고, 연습할 때에는 녹화를 하고 표정이나 말투를 체크하면서 수정해 나갔습니다. 처음에는 어색하고 외우기도 힘들었지만 여러 번 반복하면서 많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하지만 면접에 합격하기까지 100% 만족할 정도로 연습하지는 못했습니다). 외국계 기업은 면접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렵기는 하지만 어떤 회사든지 면접에서 공통적으로 질문하는 사항들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자기소개 (ex, Please walk me through your resume)
- 지원동기 (ex, Why did you apply for this job? or company?)
- 본인의 강점 (ex, Why do I hire you out of other candidates? 혹은 직접적으로 please tell me your strength)
- 리더십 (ex, What do think is the good leadership? 또는 Do you have experience leading a team to have good result?)
- 문제해결 경험 (ex, Tell us about a time when you met difficult challenges and how to solve the problems)
- 실패 경험 (ex, Please tell me about the failure you have had during your career)
- 창의성, 도전 (ex, Tell me about an experience when you set a goal that is difficult to achieve and how to reach it)
- 팀워크 (ex, Have you ever had the experience of working effectively with others and getting good results?)
- 갈등 경험 (ex, How do you resolve conflicts with your team members?)
이러한 질문들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질문들이고 면접에서 무조건 나오는, 물어보지 않을 수가 없는 질문들입니다. 따라서 나의 경력에서 스토리 텔링이 될 수 있는 좋은 경험들을 찾고 이것을 1~2분으로 잘 요약해 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4~5개의 좋은 경험을 잘 요약해 놓으면 어떤 질문이 들어와도 답변 + 경험의 구조로 좋은 구성의 대답을 할 수 있습니다. 경험 요약은 STAR 구조 (S : Situation / T : Task / A : Action / R : Result) 로 요약하는 것이 듣는 사람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우며 잘 짜여진 구조적 답변이라고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면접 답변 뿐만이 아니라 이력서를 작성할 때에도 이러한 STAR 구조로 작성하면 논리적으로 경험을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정된 시간 내에 내가 가진 강점들을 어필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역량을 두루두루 모두 보여준다는 생각 보다는 해당 직무에 적합한 역량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STAR 구조에 맞게 어필하면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입니다.
지원자의 입장에서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해당 업무가 내가 하고 싶어하는 분야인지 면접에서 한 번 더 확인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업의 면접과 달리 외국계 기업의 면접은 주로 1:1 로 서로 대화를 주고받는 형태로 진행되고 지원자도 비교적 자유롭게 회사와 직무에 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면접관도 나를 파악하고 평가하지만 지원자도 회사를 파악하고 평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미처 알지 못했던 많은 정보를 알 수도 있습니다.
면접은 많은 요소가 고려되기 때문에 합격하지 못했다고 해서 기죽을 필요는 없습니다. 저도 여러 회사에 지원했지만 이력서조차 통과되지 못한 경우도 많고 면접에서 잘 대답했다고 생각했음에도 탈락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신감이 떨어질 수 있는데 ‘나와 그 회사가 맞지 않는가 보다. 나와 맞는 회사는 반드시 있을 것이다’ 라고 마인드 컨트롤 하는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실제로 여러 회사에 동시에 합격하는 사람은 굉장히 드뭅니다. 다양한 방면으로 많은 역량을 갖추고 있고 면접 또한 잘 봐야 하는데 회사를 다니면서 이렇게 역량을 갖추고 면접 준비를 잘 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나와 맞는 좋은 회사에 한군데만 합격해도 정말 잘한 것이고 사실 이직을 원한다면 이 이상 할 필요도 없습니다. 외국계 기업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이 열심히 준비하여 좋은 결과를 얻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3)-1 : 채용공고, 요구역량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3)-1 : 채용공고, 요구역량
3. 외국계 기업 근무를 위한 준비 앞서 두 글에서 외국계 기업의 종류와 문화적인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본 글에서는 외국계 기업 취직을 준비하기 위해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준비
maite-blue.tistory.com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2 : 고용, 연봉, 복지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2 : 고용, 연봉, 복지
3) 고용 / 연봉 & 복지 한국 기업도 최근에는 공채를 진행하지 않는 회사들이 많아졌지만 외국계 기업은 특히 공채라는 개념이 거의 없습니다. 회사에서 어떤 사업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특정한
maite-blue.tistory.com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1 : 기업문화, 업무방식, 사내 커뮤니케이션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1 : 기업문화, 업무방식, 사내 커뮤니케이션
1. 외국계 기업의 문화와 업무 방식 외국계 기업의 문화가 한국 기업과 다른 이유는 본사에서 경영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업무 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입니다. 본사의 임원진
maite-blue.tistory.com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1) : 외국계 기업의 종류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1) : 외국계 기업의 종류
국내 대기업을 10년 넘게 다니다가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과 외국계 기업의 차이점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한국 기업도, 외국계 기업도 회사에 따라 제
maite-blue.tistory.com
'커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이직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0) | 2025.03.15 |
---|---|
#1. 이직이 필요한 순간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0) | 2025.03.15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3)-1 : 채용공고, 요구역량 (0) | 2023.05.06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2 : 고용, 연봉, 복지 (0) | 2023.05.04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1 : 기업문화, 업무방식, 사내 커뮤니케이션 (0)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