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리어

#2. 이직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by MAITE-BLUE 2025. 3. 15.
반응형

 

 

 

 

 

 


이직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 또한 세 가지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내가 이루어 놓은 것에 대한 아까움입니다.

 

특히 적응을 잘 했고, 나름 크게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일수록 이 이유 때문에 이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미 조직 내에 필요한 네트워크를 갖추어 놓았고, 나의 존재감 (presence)을 이용하여 일을 순조롭게 해결할 수 있으며 많이 해봤던 익숙한 일이기 때문에 일의 난이도가 높지 않습니다. 이것은 사실 조직 생활을 잘 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스스로 이러한 네트워크를 잘 만들어 놓았다고 판단된다면 정말 이직이 꼭 필요한 것인지 고민해 보아야 합니다. 

 

 


두 번째로 새로운 업무나 환경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입니다.

 

한 번도 이직을 하지 않은 경우에 이러한 마음이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회사에 계속 다니더라도 언제든 새로운 환경을 맞닥뜨릴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언젠가 직책이 바뀌면서 새로운 임무를 맡게 될 것이고, 또 큰 관점에서는 언젠가 퇴사하게 되면서 새로운 변화의 시기가 찾아올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 이직을 한다고 해서 오지 않을 새로운 변화를 극복해야 한다거나, 지금까지 해왔던 사회생활과 아예 동떨어진 일을 한다는 걱정은 버려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직 전에 나와 잘 맞는 조직일지는 최선을 다해서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맥이나 여러 방법 (예를 들어 이직 플랫폼을 통해 현직자들을 찾아 문의를 해보는 등)을 통해 충분히 조직의 분위기를 확인해 보는 것이 불안감과 두려움을 줄이고 좋은 판단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나의 직종과 나의 직무 중 한 가지는 겹치는 곳으로 이직을 고려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적어도 50% 정도 내가 경험해 본 환경이라면, 나머지 반은 가지고 있는 50%로 버티면서 충분히 익히고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직종과 직무가 아예 새로운 환경으로 간다면, 사실상 이러한 이직도 쉽지는 않지만, 적응하는데 매우 많은 노력이 들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각오해야 합니다.

 

 

 

세 번째는 기회의 부재입니다.

 

이는 불경기로 인해 채용 공고가 드물어서 마땅히 이직할 회사를 찾기가 어렵거나, 내가 이직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전자의 경우는 급하다고 아무 곳이나 이력서를 내기 보다는 내가 원하는 분야의 채용 공고들을 모니터링하고 기다리면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가 좋아지는 시그널이 오면 너도나도 갑자기 많은 인력을 채용하는 것이 회사이기 때문에 이러한 때를 기다려서 좋은 이직 기회를 잡아야 합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나는 충분히 이직할 준비가 되었다’라고 판단하고 이력서를 넣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현재 회사에서 내가 하는 일, 커리어를 정리해 보고 플랫폼에 이력서를 올려놓거나 헤드 헌터를 통해 문의하면 여러 군데서 제의가 들어오고 이러한 기회에 도전해 보아야 합니다. 물론 그동안 공을 들인 정도에 따라서 제의가 오는 회사들이 다를 수 있겠지만, 어느 누구도 완벽한 준비를 하고 이직을 하지 않습니다. 나의 이력을 필요로 하거나 내 이력에 적합한 회사는 내가 들어보지 못했거나 생각하지 못한 회사들도 정말 많이 있을 것입니다.

 

 

 

 

 

회의

 

2025.03.15 - [커리어] - #1. 이직이 필요한 순간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이직이 필요한 순간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이직 한번 해 볼까?’ ‘아, 이직하고 싶다’, ‘지금쯤 이직이 필요하지 않을까?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저 또한 이직하기 전에 한

maite-blue.tistory.com

 

2025.03.15 - [커리어] - #3. 이직 결정 단계 및 시기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3. 이직 결정 단계 및 시기 (대기업에서 외국계 이직 후기)

이직 결정의 단계 앞에서 언급한 이직이 필요한 순간들과 이직을 가로막는 요인들을 바탕으로 어떤 순서로 이직 결정을 하는 것이 좋을지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모든 사람들

maite-blue.tistory.com

 

2023.05.01 -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1) : 외국계 기업의 종류

 

2023.05.02 -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2)-1 : 기업문화, 업무방식, 사내 커뮤니케이션

 

2023.05.06 - [커리어]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3)-1 : 채용공고, 요구역량

 

 

 

 

 

반응형

댓글